불과 몇 년 전만 해도 “AI가 음악을 만든다”는 말은 마치 공상과학 이야기처럼 들렸습니다. 그러나 2025년 현재, AI 작곡은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오히려 AI 작곡 프로그램은 영상 제작, 광고, 게임, 유튜브 콘텐츠 등에 널리 활용되며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AI로 작곡하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금, 우리는 음악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그리고 AI 작곡 툴은 어떻게 활용되고, 어떤 영향을 주고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AI 작곡의 개념부터 최신 사례, 그리고 창작자와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까지 살펴보겠습니다.
AI 작곡이란 무엇인가?
AI 작곡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해 음악을 만드는 기술입니다. 인간이 직접 악보를 쓰거나 연주하지 않아도, AI가 음악의 구성 요소(멜로디, 코드, 리듬, 악기 구성 등)를 분석하고 조합하여 새로운 곡을 만들어냅니다.
이 과정은 대부분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모델로 이루어지며, 수천만 곡의 데이터를 학습한 후, 특정한 스타일이나 감정에 맞는 음악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인기 있는 AI 작곡 툴
1. Soundraw
- 특징: 영상 길이에 맞는 배경음악(BGM)을 자동 생성. 사용자가 원하는 감정, 분위기, 장르 선택 가능.
- 장점:
- 한국 유튜버, 쇼츠 크리에이터들 사이에서 인기.
- 상업적 이용 가능.
- 직관적인 UI로 초보자도 쉽게 사용 가능.
- 링크: https://soundraw.io
AI Music Generator SOUNDRAW
Discover the power of AI generated music with our platform. Create unique songs in just a few clicks. Edit & personalize the songs you create to your specific needs. Generate unlimited royalty-free music to use in your songs, projects and videos. Distribut
soundraw.io
2. AIVA
- 특징: 클래식, 영화음악 스타일에 강한 AI 작곡가. 작곡가 지망생들 사이에서 연습용으로 사용.
- 장점:
- 감성적인 멜로디 생성에 강함.
- 미디(MIDI) 파일로 내보내기 가능 → 직접 편곡 가능.
- 활용: 유튜브, 단편 영상, 게임 BGM 등에 활용.
- 링크: https://www.aiva.ai
AIVA, the AI Music Generation Assistant
Billed Annually 26% OFF! Recommended for content creators who want to monetize compositions only on Youtube, Twitch, Tik Tok and Instagram. Copyright owned by AIVA Limited monetization No need to credit AIVA 15 downloads per month Track durations up to 5 m
www.aiva.ai
3. Amper Music (현재는 Shutterstock의 AI Music으로 통합)
- 특징: 사용자가 선택한 분위기와 길이에 맞춰 음악을 생성.
- 장점:
-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 상업적 라이선스 제공.
- 유튜브 콘텐츠에 바로 삽입 가능.
- 링크: https://www.shutterstock.com/ai/music
4. Boomy
- 특징: 클릭 몇 번으로 노래 만들기 가능. 한국에서도 SNS용 배경음악, 릴스, 쇼츠용 음악으로 많이 사용됨.
- 장점:
- 스트리밍 서비스로 배포 가능.
- 수익 창출까지 가능 (Spotify 등).
- 음원 제작 경험 없어도 가능.
- 링크: https://www.boomy.com
Boomy - Make Generative Music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boomy.com
5. Endlesss
- 특징: 실시간으로 협업 작곡이 가능한 AI 기반 루프 작곡 플랫폼.
- 활용: DJ, 힙합 비트메이커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음.
- 장점:
- 즉흥적이고 실험적인 음악에 적합.
- 한국의 Lo-fi, Chill-hop 크리에이터 사이에서 입소문.
- 링크: https://endlesss.fm
Endlesss — Build communities around your music
Welcome back to Endlesss Endlesss is now in the care of HabLab London an organisation founded by Imogen Heap focused on music-tech-for-good. Our first priority has been to bring the Endlesss core app back online for us all as quickly as possible. Now we ar
endlesss.fm
AI 작곡의 활용 분야는 어디까지 왔을까?
AI 작곡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콘텐츠 제작자들과 기업들 사이에서는 이미 실용적인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 유튜브 및 영상 콘텐츠
배경 음악(BGM)이 필요한 쇼츠, 브이로그, 광고 영상에서 저작권 걱정 없는 AI 음악은 큰 강점입니다.
🕹 게임 산업
게임 내 배경 음악(BGM), 테마송, 효과음 등에 AI 작곡이 사용되며 빠른 제작과 저렴한 비용으로 활용도가 높습니다.
📺 광고 및 브랜딩
브랜드 이미지에 맞는 음악을 AI가 빠르게 생성해주기 때문에 광고 캠페인 제작 속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됩니다.
🎤 아티스트와 콜라보레이션
실제 뮤지션들도 AI와 협업해 곡을 만들거나, 영감을 얻는 용도로 AI 작곡 도구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AI 작곡의 장점은?
1. 속도와 효율성
몇 분 안에 음악이 완성됩니다. 긴 제작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콘텐츠 제작 일정 단축에 유리합니다.
2. 저작권 문제 해결
AI 작곡 툴에서 생성된 음악은 대부분 자유롭게 사용 가능한 라이선스를 제공합니다. 유튜브 수익 제한 문제를 피해갈 수 있습니다.
3. 비전문가도 쉽게 사용 가능
음악 지식이 없어도 원하는 음악을 만들 수 있어, 음악 제작의 진입 장벽이 낮아졌습니다.
하지만, AI 작곡에도 한계는 있습니다.
AI 작곡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은 아닙니다. 창작의 영역에는 여전히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섬세함과 감정 전달이 필요합니다.
❌ 감정의 깊이 부족
AI가 만든 음악은 기술적으로 훌륭하지만, 인간의 삶과 경험에서 나오는 ‘감정선’은 아직 부족하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 창의성의 한계
기존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완전히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 윤리적 이슈
AI가 학습하는 데이터에 따라 저작권 침해 논란이 생길 수 있으며, 작곡가의 역할이 축소될 수 있다는 직업적 위기감도 존재합니다
AI 작곡은 음악가를 대체할까?
AI는 인간을 대체하기보다는 보완하는 도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많은 작곡가와 프로듀서들은 AI를 ‘창작 파트너’로 활용하고 있으며, 초안을 AI로 만든 뒤 인간이 다듬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AI + 인간"의 협업 구조가 음악 산업의 중요한 형태로 자리잡게 될 것입니다.
AI 작곡, 피할 수 없다면 함께하라
AI로 작곡하는 시대는 이미 우리 곁에 와 있습니다. 그리고 이 변화는 단순한 유행이 아닌, 음악 산업 전체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합니다.
음악을 만드는 방식, 사용하는 방식, 감상하는 방식까지 모두 바뀌고 있는 지금, 창작자와 콘텐츠 제작자라면 AI 작곡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AI는 도구일 뿐, 그 도구를 어떻게 쓰느냐는 인간의 몫입니다.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AI를 통해 음악을 창작하고, 공유하고, 감동을 주는 시대가 펼쳐질 것입니다.
'IT,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UX Writing의 조건 (0) | 2025.04.18 |
---|---|
프롬프트 하나로 달라지는 퀄리티 (0) | 2025.04.16 |
2025 주목해야 할 UI/UX디자인 트렌드 (0) | 2025.04.10 |
쿠팡 UX는 왜 편할까? (0) | 2025.04.03 |
2025년 주목해야 할 AI/IT관련 국내외 행사 10가지 (0) | 2025.04.02 |